10월16일 극장에 걸리는 이경미 감독의 <미쓰 홍당무>는 오랜만에 맞닥뜨리는 거침없는 데뷔작이다. 줄거리는 짧게 요약하면 ‘삽질의 설상가상’이고 미운 오리 새끼인 주인공은 백조가 될 가망의 씨알도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나 다음 장면에 대한 예측을 번번이 추월하는 이 영화는 관객에게 통쾌한 패배감을 안겨준다. 올해 나온 코미디 중 가장 많은 웃음을 주기도 한다. 그 중심에는 잔인한 세상과 순순히 무릎 꿇지 않는 개인에 대한 서늘한 관찰력이 자리잡고 있다. 한번 보면 기막히고 두번 보면 사랑스러운 <미쓰 홍당무>와 이경미 감독을 소개한다.“나랑 좀 싸울래요?”
![]() |
10년 뒤 어른이 된 미숙은 모교의 러시아어 교사로 부임하지만 중학교 영어 교사로 좌천돼 영어학원 다니며 수업하는 처지가 된다. 왕따의 표식은 문신이라도 되는지, 학생들조차 그녀를 현관 깔개 취급한다. 설상가상 미숙은 이젠 동료가 된 옛 담임 서종철 선생을 열렬히 짝사랑하고 있다(본인은 결코 짝사랑이 아니라 믿는다). 한데 웬걸 유부남 서선생은 다른 여교사와 바람이 난 눈치다. 게다가 밉살맞은 상대는 직장 내 경쟁자인 미모의 러시아어 교사 이유리(황우슬혜). 미숙은 서 선생의 딸이자 미숙과 나란히 전따(전교 왕따) 처지인 중학생 종희(서우)와 손을 잡고 서 선생 부부의 이혼을 저지하는 작전에 돌입한다. 그래서 뭐라도 잘돼갈까? 그럴 리 없다. 일껏 커튼을 열면 창 대신 벽이 나오고, 혹 떼려다 혹 붙이는 사태가 줄을 잇는다.
![]() |
사람들이 볼거리인 캐릭터 영화
<미쓰 홍당무>의 유일무이한 볼거리는 사람들이다. 먼저 ‘왕따들의 왕따’로 설정된 양미숙을 보자. 그녀는 왜 따돌림받는 것일까. 곰곰 뜯어보면 미숙은 실력이 부족하다지만 안정된 직업도 있고 외모가 추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콤플렉스를 가리려는 옷차림이 그녀를 불거져 보이게 한다. 진짜 화근은 그녀의 ‘매너’다. 혼자만 희한한 감정을 품어서가 아니라 그 감정을 사회화된 인간답게 위장하지 못하는 게 문제인 것이다. 안면홍조증이라는 징후는 감정을 은폐하지 못하는 상태에 대한 상징에 가까워 보인다(극중에서 미숙의 안면홍조가 남들의 입으로 지적되는 일은 별로 없다).
그러나 <미쓰 홍당무>의 힘이 단순히 튀는 캐릭터의 디자인에 있는 것은 아니다. 전범을 찾기 힘든 배역을 해석한 배우들의 노력이 성공한 데에는, 과장된 상황과 인물의 현실적 설득력 사이에 균형을 잡은 이경미 감독의 연출을 간과할 수 없다. 제작자인 모호필름 대표 박찬욱 감독 역시 이경미 감독의 첫 장편에 믿음을 가졌던 첫 번째 이유로, 자연스러우면서도 심심하게 흘러가지 않는 연기를 이끌어내는 재능을 꼽는다.
![]() |
그녀는 왜 작은 일에만 분노하나
<미쓰 홍당무>에서 유머의 뇌관은 사회의 천덕꾸러기들이 허튼 짓으로 망신을 당하는 광경보다, 어떻게든 반격해보겠다고 발버둥치는 험난한 과정에 있다. 미숙과 종희, 그리고 유리는 마땅한 논리도 없으면서 자꾸 계획과 계략을 세우고 잘잘못을 따지고 도리와 원칙을 주장해서 우리를 웃긴다. 그녀들은 하릴없는 헛똑똑이다. 인간관계- 성관계를 포함해- 의 실제 경험이 부족한 그들은 들은 것, 읽은 것을 총동원하지만 현실 앞에서는 백전백패다. 미숙의 투쟁이 자해를 동반하는 것은 그녀 자신조차 겹겹이 쌓아올린 논리에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그녀는 “내가 뭐 어때서?”와 “내가 별론 것 나도 알아” 사이를 오락가락하고, “열심히 살아봤자다”와 “나는 남들보다 열심히 살아야 해” 사이를 초조하게 서성인다. 애처롭다. 그런데 연민보다 한심함이 앞선다. 이경미 감독의 영화가 박찬욱 감독 영화와 공유하는 유전자가 있다면 그처럼 쓰라린 유머 감각이다.
![]() |
<미쓰 홍당무>의 클라이맥스에서 미숙과 종희는 객석의 야유 속에 <고도를 기다리며>를 공연한다. 둘에게 고도(Godot)는 끝내 오지 않을지언정 같이 수작하며 기다릴 친구는 있다. 그럼에도 <미쓰 홍당무>를 페이소스가 승한 코미디나 왕따 문화의 자성이라고 부르기는 망설여진다. 무엇보다 이경미 감독은 우리가 양미숙을 비웃은 죄책감을 해소할 기회를 주지 않는다. 남는 것은 조촐한 자각이다. 이 세계의 막강한 냉혹함과 자신의 막대한 어리석음에도 불구하고 지지 않으려고 발버둥치기에 인간은 귀여운 존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