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풍요로운 생태계의 보고 순천만 갯벌

 



MBC '스페셜' 도둑게… 짱뚱어… 바다달팽이…

생태계의 보고로 각광 받는 순천만 갯벌은 2006년 1월 람사르습지로 등록되었다. 28일 경남 창원에서 개막된 제10회 람사르 총회가 끝난 뒤 각국 대표단이 처음으로 방문하는 곳 역시 순천만 갈대밭이다. 사방 4㎞에 이르는 순천만 갈대밭은 풍요로운 생물 다양성의 터전이자 자연생태의 학습장이고 산책로이기도 하다.

MBC '스페셜'은 31일 오후 9시 55분 람사르 총회 특집으로 세계 5대 연안 습지 중 하나인 순천만의 생태를 방송한다. 순천만에서 살아가고 있는 짱뚱어, 말뚝망둥어, 도둑게의 모습을 통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갯벌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

순천만에서 가장 흥미로운 관찰 대상은 도둑게다. 등딱지는 약간 청록색을 띤 검은색이고 얼굴과 두 집게발은 붉은색이다. 새마을사업이 펼쳐지기 전 부엌이 늘 열려있다시피 했던 전통 가옥에서 부엌까지 들어가 음식을 훔쳐 먹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 그대로 학명이 된 것이다. 짝짓기를 포함한 도둑게의 모든 것을 영상에 담는다.

짱뚱어는 갯벌의 환경지표다. 짱뚱어가 살아야 건강한 갯벌로 인정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싸움꾼 짱뚱어는 육식을 전혀 하지 않고 갯벌을 훑어서 그 속에 있는 규조류(일종의 플랑크톤)만 먹는다. 반면 크기가 가장 작은 망둥어는 새끼게며 갯지렁이 등을 마구잡이로 잡아먹는다.

그 밖에 순천만 주민들이 '말똥'이라고 부르는 일종의 바다달팽이 등 아직 학회에 보고되지 않은 미기록종 2종을 영상에 담는다. 또한 아열대 또는 열대성 농게의 푸른색 새끼게 발견을 통해 지구 온난화의 영향이 순천만 갯벌의 게들에게까지 미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