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능 프로그램의 신주류로 급부상했던 호통 박명수와 독설 김구라의 기세가 예전만 못하다. '야 야 야' 호통으로 동료 출연자나 게스트를 윽박지르고(박명수), '제대로 한 게 뭐 있냐'고 깐족이는(김구라)의 호통과 독설이 요즘 빛을 잃어가는 분위기다. 왜 그럴까?
TV 속 예능의 조연이고 양념이었던 이들이 기대 이상 치솟은 인기를 발판 삼아서 메인 MC로 나선 게 오히려 독이 됐다. 박명수는 연말연초 '지피지기' 등 여러 프로그램의 진행을 맡았지만 중도 하차하거나 폐지되는 비운을 맛봤다. 그의 강점이었던 단말마 조크와 어눌한 말투가 홀로 서기에서는 오히려 단점으로 바뀌었다.
김구라의 경우는 조금 더 복잡하다. 집단 MC 체제로 누가 더 많이 떠드나를 겨루는 듯한 '명랑히어로' '라디오스타' 등에서는 특유의 상처주고 비꼬는 대사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차분한 진행이 필요한 프로에서는 단독 진행에 특화된 장점을 찾기 어렵고, 어려운(?) 상대가 많은 MBC 일요일 저녁 '세바퀴' 에서는 말 할 기회 잡기조차 버거워하고 있다.
'2인자'(박명수)의 배반과 '아웃사이더'(김구라)의 반란이라는 이질적 캐릭터로 시청자 공감을 샀던 두 사람이 정작 주류로 올라서고는 자신들을 지탱시켰던 힘을 잃어가는 셈이다.
시청자는 예능 프로의 1인자로 나선 박명수에게 더 이상 '무한도전' 찮은이형 수준 진행에 만족하지 못한다. 보조석에서 신나게 동료 선후배를 면박주던 김구라가 진행석에 앉아 이빨 빠진 호랑이로 있을 때 시청자는 배신감을 느낀다.
늘 1인자를 꿈꾸며 엉뚱한 악동 행각을 일삼은 박명수에게 열광했던 마음이 시들해지고, 오랜 무명생활에서 터득한 촌철살인으로 잘난 스타들의 얼굴을 찡그리게 한 김구라에게 느꼈던 카타르시스의 만족감이 사라지는 형국이다.
결국 호통과 독설 개그의 본질을 잃어간다는 게 하향세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차마 입 밖으로 꺼내지 못했던 말들이나, 소수의 생각일지라도 누군가 한번쯤은 속 시원하게 얘기해줬으면 했던 발언들을 거침없이 쏟아냈던 이 둘에게 사람들은 묘한 쾌감을 얻었었다.
때로는 지나치게 솔직해 상대방의 마음에 비수를 꽂는 경우도 있고, 아슬아슬한 공중곡예를 보는 것처럼 불안한 상황도 있지만 이를 시청하는 대중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마음을 대변해주는 호통과 독설 개그에 박수를 보냈던 것이다.
이같은 점에서 이들에게 '2인자' 호칭은 결코 부끄러운 일도 아니고 더 한 계단 올라가야 할 당위성을 부여하지 않는다. 오히려 호통과 독설 개그에 딱 어울리는 자리고 빛을 발할 위치였다. 그들이 2인자로 불려졌을 때, 박명수와 김구라는 실제 정상에 서있던 게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