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예능프로그램 ‘진실게임’을 거쳐 ‘골미다’의 연출을 맡고 있는 황인영(32)PD는 “완벽한 대본이 나와 있는 스튜디오 녹화 때와는 달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서는 출연자들의 예상치 못한 행동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몇배 더 예민해지고 돌발 상황에 대처하는 순발력이 요구된다.”면서 “프로그램이 짜여진 콘티가 아니라 현장 상황에 따라 만들어지므로 스케치북에 앞뒤 이야기를 하나의 스토리로 연결하는 그림을 그려가면서 촬영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두 번째로 중요한 리얼리티 프로그램 PD의 덕목은 바로 ‘편집능력’이다. 정해진 내용도, 결말도 없다보니 편집과 연출에 따라 프로그램의 내용은 180도 달라질 수 있다. ‘골미다’의 경우도 출연자들이 하루종일 한회 방송분의 70분의 10배가 넘는 시간 동안 촬영을 하고 나면 그 이후는 철저히 제작진의 몫으로 남겨진다. 월요일 녹화를 하고 나면,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3~4일은 거의 두세시간을 눈붙이는 것을 제외하곤 편집에 매달린다.
황 PD는 “요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경쟁을 이루다보니 후반 작업의 중요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면서 “자막을 입히는 과정까지 포함해 총 4차까지 편집을 거친 뒤 편집본도 방송전까지 담당 CP(책임 프로듀서)에게도 잘 보여주지 않을 정도로 철저히 보안을 유지한다.”고 말했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각본 없는 시트콤’이라 부르는 데는 이유가 있다. 출연자들 각각의 개성과 캐릭터가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이다. 출연자들이 긴장을 풀고 온전히 자신의 캐릭터를 드러내는 것도 PD의 몫이다. ‘라인업’ 등을 거쳐 ‘골미다’의 연출을 맡은 예능국 11년차 김재혁(38) PD는 “여성출연자들은 감정기복도 심하고, 컨디션에 따라 방송내용이 좌우돼 조심스럽다.”면서 “여성 PD를 공동연출자로 내세우고, 작가들을 전원 여성으로 구성한 것도 여성심리를 제대로 표현하기 위한 장치”라고 말한다.
방송가에 러브 리얼리티 프로그램 열풍을 불게 한 진원지는 MBC ‘일요일 일요일 밤에’의 ‘우리 결혼했어요’코너. 같은 시간대에다 구성내용이 비슷하니 신경이 안 쓰일 수가 없는 노릇이다.
김PD는 “기존의 짝짓기 프로그램들이 극의 재미를 위해 제작진의 의도를 간간이 집어넣었다면 ‘골미다’는 의도적인 감정설정이 전혀 없다.”고 말한다. 프로그램 제작과정에서 여성 출연자들이 진짜 남자친구가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그 남자친구도 함께 카메라 앞에 세워야죠. 우린 출연자들의 만남과 연애, 결혼에 관한 모든 것을 리얼하게 담는 게 목표니까요.”